무릎 회전근 평소 운동을 하다가 무릎이 시큰거리거나, 앉았다 일어설 때 찌릿한 통증을 느껴본 적 있으신가요? 많은 사람들이 무릎 통증의 원인을 연골 손상이나 관절염으로 생각하지만 정작 중요한 요소를 놓치곤 합니다. 바로 무릎 주변의 작은 근육들, 특히 회전근(rotator muscles)입니다. 무릎은 단순한 경첩 관절이 아니라, 미세한 회전과 회내·회외 움직임까지 수행하는 복합적인 관절입니다. 이 복잡한 운동을 지지하고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무릎 주변의 회전근과 지지 근육입니다. 이들이 약해지면 무릎 관절 전체의 안정성이 무너지고, 운동 시 부상 확률이 높아지며, 일상 속 통증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무릎 회전근 일반적으로 '회전근(rotator muscles)'이라고 하면 어깨 회전근개를 떠올리지만, 무릎에도 회전을 유도하거나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근육군이 존재합니다. 무릎은 굽힘(flexion)과 폄(extension) 외에도 소량의 회전 운동이 일어납니다. 이 회전 운동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햄스트링 내의 반막양근, 반건양근, 대퇴이두근, 그리고 종아리의 장요근, 슬괵근 등입니다.
반막양근(Semitendinosus) | 내회전 | 무릎 안쪽 안정화 |
반건양근(Semimembranosus) | 내회전 | 무릎 후방 지지 |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 | 외회전 | 무릎 외측 안정화 |
장요근(Popliteus) | 내회전 | 무릎 잠금 해제 및 초기 굽힘 시작 |
슬괵근(Hamstrings) | 내·외회전 보조 | 걷기, 달리기 시 회전 컨트롤 |
이 근육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무릎의 정렬, 회전, 충격 분산이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부상 없이 무릎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릎 회전근 회전근의 중요성은 부상 시 그 진가가 드러납니다. 특히 운동선수나 활동적인 사람에게는 결정적인 변수로 작용합니다.
무릎 통증 | 무릎 회전 시 비정상 압력 발생 | 계단 오르기, 런지, 방향 전환 시 |
관절 불안정성 | 근육의 회전 조절 능력 약화 | 걷다가 꺾이는 느낌 |
인대 스트레스 증가 | 근육 보조 부족 → 인대 과부하 | 점프 착지 시 무릎 흔들림 |
퇴행성 변화 가속 | 반복된 회전 스트레스 축적 | 중년 이후 관절염 위험 증가 |
ITB 증후군 | 외측 회전근 불균형 → 장경인대 마찰 증가 | 달리기 시 외측 통증 유발 |
회전근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관절 자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커지고 연골, 인대, 점액낭, 대퇴근막에 무리가 가해져 복합적인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복적인 방향 전환 운동 | 축구, 농구 등에서 회전 근육 반복 피로 |
근력 불균형 | 대퇴사두근과 햄스트링 사이의 힘 차이 |
정렬 이상 | 평발, 과내전, X다리 등 |
앉은 자세 생활 | 고관절 및 햄스트링 단축 → 무릎 회전 제한 |
잘못된 운동 습관 | 준비 운동 부족, 무릎 정렬 무시한 스쿼트 |
이러한 요소들이 누적되면 회전근이 경직되거나 미세손상이 반복되며 결국 통증으로 나타납니다. 초기에는 단순한 피로로 느껴지지만, 방치하면 만성 통증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무릎 회전근 정형외과적인 검진 외에도 몇 가지 자가 테스트로 회전근 이상 유무를 점검해볼 수 있습니다.
앉았다 일어나기 | 10회 반복 시 무릎 안쪽/외측 통증 유무 | 통증 있으면 회전 불균형 의심 |
짝다리 서기 | 한 다리로 서서 30초 버티기 | 흔들림 많으면 고관절 및 회전근 약화 |
런지 동작 | 한쪽 런지 시 무릎이 안으로 몰리면 | 내회전 조절 부족 가능성 |
걸음걸이 관찰 | 발끝이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지속적으로 돌아감 | 비정상 회전 패턴 |
※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물리치료사 혹은 정형외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회전근을 타겟으로 하는 운동은 무릎을 보호할 뿐 아니라, 하체 전체의 움직임을 안정화합니다.
클램셸 운동 | 옆으로 누워 무릎 굽힌 상태에서 무릎 열기 | 골반 고정 필수 |
스탠딩 힙로테이션 | 고무밴드를 이용해 고관절 내회전·외회전 반복 | 무릎 아닌 엉덩이 주도 |
데드버그 변형 | 누운 상태에서 다리 번갈아 들어올리기 | 허리 뜨지 않도록 조심 |
밴드 워킹 | 무릎에 밴드 감고 사이드 스텝 | 무릎 꺾이지 않도록 주의 |
숄더 브리지 + 킥 | 엉덩이 들고 한 다리씩 들어올리기 | 엉덩이 높이 유지 |
이 운동들을 꾸준히 하면 회전 조절 능력 향상, 통증 감소, 무릎 안정성 향상에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운동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일상 속 관리입니다. 무릎을 회전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려면 생활 습관 전반을 점검해야 합니다.
장시간 앉기 피하기 | 40분마다 일어나 스트레칭 |
무릎 꼬지 않기 | 좌우 회전 불균형 유발 |
계단 오르내릴 때 무릎 중앙 정렬 유지 | 무릎이 안쪽으로 쏠리지 않게 |
앉았다 일어날 때 발 바르게 정렬 | 무릎보다 발 앞나가지 않기 |
하이힐 줄이기 | 무릎 각도 변화로 회전 근육 피로 유발 |
수면 자세 체크 | 엎드려 자는 자세는 무릎 회전 지속적 유도 |
꾸준한 유산소 운동 | 혈류 증가로 회복 속도 향상 |
무릎 회전근 우리는 흔히 무릎 건강을 말할 때 연골이나 인대만을 떠올리지만, 사실 무릎 회전근이 무릎의 정렬과 움직임을 지탱하는 진정한 숨은 주역입니다. 이 근육들이 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면, 정렬이 틀어지고 반복적인 스트레스가 누적되며 결국 통증, 부상, 기능 저하로 이어지게 됩니다. 한 번 손상되면 회복까지 긴 시간이 필요한 무릎. 지금부터라도 회전근에 주목한 운동과 생활습관 교정을 통해 건강한 무릎을 오래도록 지켜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