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무릎 후방십자인대 계단 내려가기 힘든가요?

카테고리 없음

by 무릎 전문가 2025. 7. 18. 09:59

본문

무릎 후방십자인대 갑작스럽게 무릎이 ‘툭’하고 꺾이거나, 걷는 도중 무릎이 흔들리는 듯한 느낌을 받아본 적이 있으신가요? 특히 계단을 내려가거나 앉았다 일어날 때 무릎 뒤쪽의 통증과 불안정감이 있다면, 후방십자인대(PCL, Posterior Cruciate Ligament) 손상일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전방십자인대는 익숙하지만, 후방십자인대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 인대 역시 무릎의 중심축을 잡아주는 매우 중요한 구조물로, 손상 시 무릎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무릎 후방십자인대 역할과 기본지식

무릎 후방십자인대  무릎에는 두 개의 십자인대가 교차하면서 무릎의 앞뒤 움직임을 조절합니다. 그중 후방십자인대(PCL)는 대퇴골(허벅지뼈)과 경골(정강이뼈)을 연결하며, 무릎이 뒤로 밀리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위치 대퇴골의 안쪽에서 시작 → 경골 뒤쪽에 부착
길이 약 38~45mm
두께 전방십자인대보다 두껍고 강함
역할 무릎의 후방 안정성 유지, 경골이 뒤로 밀리는 것 방지
특성 전방십자인대보다 손상 빈도는 낮지만 회복이 더 어려움

후방십자인대는 주로 후방 충격이나 급정지 동작 시 손상되며, 단독 손상보다는 다른 인대와 복합 손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릎 후방십자인대 찢어지거나 늘어나는 경우

무릎 후방십자인대 상당히 강한 구조물이지만, 강한 충격이나 반복된 스트레스에 의해 찢어지거나 늘어날 수 있습니다.

무릎 정면 충돌 교통사고 시 무릎이 대시보드에 부딪힐 때 (대시보드 부상)
스포츠 부상 축구, 럭비, 레슬링 등에서 무릎 후방으로 강한 힘이 작용할 때
낙상 계단에서 넘어지거나 무릎을 짚고 넘어졌을 때
무릎 과신전 무릎이 지나치게 펴지면서 후방십자인대가 손상됨
반복적 스트레스 구조적 불안정성으로 인한 지속적인 인대 손상

전방십자인대 손상은 방향 전환에서, 후방십자인대 손상은 ‘충돌’이나 ‘압박’에서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손상증상들

후방십자인대 손상은 전방십자인대 손상보다 증상이 미묘하고 진행이 느립니다. 하지만 방치하면 무릎 뒤쪽 관절염, 반월상연골 손상, 관절 불안정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무릎 뒤쪽 통증 특히 무릎을 굽혔을 때 당기거나 욱신거리는 통증
무릎 불안정감 무릎이 뒤로 밀리는 느낌, 걸을 때 흔들림
부기 손상 직후 또는 활동 후 무릎이 붓는 현상
움직임 제한 무릎 굽힘·폄 동작이 어렵고 불편
관절음 무릎에서 ‘딸깍’, ‘뚝’ 소리 발생 가능
만성 통증 치료 없이 방치할 경우 지속적인 무릎 통증 유발

초기 증상이 약해 방치되기 쉬우며, 장기적으로 무릎 관절에 구조적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학적 검사와 영상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의의 문진과 이학적 검사, 영상검사가 필요합니다. 단순 염좌와는 증상이 유사하므로 반드시 정밀 검사로 확인해야 합니다.

후방 서랍 검사 (Posterior Drawer Test)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경골이 뒤로 밀리는지 확인
엑스레이 골절, 관절 간격 변화 확인 (인대는 안 보임)
MRI 후방십자인대의 손상 정도, 동반 연골·인대 상태 확인
관절경 검사 필요 시 직접 관절 내시경으로 손상 상태 확인 가능

MRI는 인대 손상의 정확한 위치와 정도를 파악하는 가장 신뢰도 높은 검사 방법입니다.


무릎 후방십자인대 파열과 치료

무릎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정도에 따라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대부분의 1도~2도 손상은 보존적 치료로 회복이 가능하며, 3도 이상의 파열은 수술을 고려하게 됩니다.

보존적 치료 부분 파열, 인대 늘어남 보조기 착용, 물리치료, 근력 강화 운동 중심
수술적 치료 완전 파열, 불안정성 지속 인대 재건술 (자가 또는 동종 인대 사용)
주사 치료 초기 염증 조절 소염제, 히알루론산, 프롤로 주사 등 활용
재활 치료 모든 단계 공통 기능 회복, 무릎 안정성 확보 필수 과정

후방십자인대는 혈류 공급이 적기 때문에, 손상이 심할 경우 보존 치료만으로는 회복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재활 운동 프로그램

치료만큼 중요한 것이 재활 프로그램입니다. 무릎의 안정성과 근력 회복을 위해 단계별 운동이 필수입니다.

1단계 0~2주 통증 완화, 부기 감소 다리 올리기, 무릎 고정, 보조기 착용
2단계 2~6주 가동범위 회복 쿼드셋, 힐슬라이드, 무릎 펴기 운동
3단계 6~12주 근력 강화, 밸런스 향상 레그 프레스, 브릿지 운동, 스텝업
4단계 3개월~ 스포츠 복귀 훈련 무릎 점프, 방향 전환 훈련, 고강도 근력 운동

무리한 운동은 재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 지도 하에 점진적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수칙과 숙지

후방십자인대 손상은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활동량이 많거나, 무릎을 자주 쓰는 직업군, 운동선수는 반드시 다음 사항을 숙지해야 합니다.

무릎 보호대 착용 운동 시 외부 충격 감소
충분한 스트레칭 허벅지, 종아리 근육 이완으로 관절 부담 완화
하체 근력 강화 대퇴사두근, 햄스트링, 종아리 근육 강화
체중 관리 체중 1kg당 무릎에 4~6kg 하중 발생
균형 감각 훈련 불균형한 움직임을 방지
사고 예방 차량 탑승 시 무릎 보호, 낙상 주의

특히 스포츠 활동 전후 충분한 준비 운동과 정리 운동은 필수입니다.


무릎 후방십자인대 비록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무릎의 전후 안정성과 기능에 있어 매우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통증이 심하지 않더라도 무릎 뒤쪽이 불편하거나 걸을 때 뒤로 밀리는 느낌이 들고 갑작스러운 무릎 꺾임이 발생한다면 지금이 바로 전문 검진을 받아야 할 시점입니다. 후방십자인대 손상은 방치할 경우 퇴행성관절염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꾸준한 재활, 예방 습관으로 건강한 무릎을 오래오래 유지하시길 바랍니다.